뇌졸중 환자 간호 : 진단검사
두개골: 골절, 두개강 내 이물질 진단, 형태, 크기, 밀도, 석회화 및 기형 유무 확인척추: 골절, 탈구, 퇴행성 질환 등 확인, 척추결핵, 강직, 골다공증, 골연화증 등 진단①장점: 비침습적으로 검사 진행이 용이하며 통증이 없음②간호: 금속으로 된 장신구와 같이 x선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 제거 조직의 밀도가 높은 두개골이 제일 희게 나타나며 물과 공기는 검은색, 뇌조직은 회색으로 나타남① 목적뇌조직과 척수의 탈출, 이동, 출혈, 압박, 골절 여부 확인종양, 농양, 색전 확인 및 치료 경과에 대한 정보 확인퇴행성 장애의 확인(다발성 경화증의 반점, 알츠하이머에서 백질 또는 회백질 소실)② 장점두부외상이나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뇌지주막하출혈 진단, 두개골 골절이나 변형, 석회화 발견에 MRI보다 용이..
2024. 9. 27.
뇌졸중 환자 간호 : 뇌신경계 신체 사정 방법②
[신체검진]면봉이봉검안경펜라이트반사 측정을 위한 해머설압자날카로운 핀, 무딘 핀 등등뇌혈관은 동맥혈 속의 탄산가스 농도(PaCO2)가 상승하면 확장, 저하되면 수축한다. 의식 저하나 두개내압 항진에 의해 구토, 흡인 등으로 기도 폐색이 일어나면 PaCO2를 상승 시키는 원인이 됨. 그 결과 뇌혈관은 확장되고 혈류가 과잉 유입되어 뇌 부피가 커지고, 두개 내압 항진 및 뇌 허혈을 유발함 두개내압항진 및 뇌 허혈이 진행되면 호흡 조정에 관계되는 뇌간과 중뇌, 교뇌, 연수, 대뇌 전체가 압박으로 인한 손상을 받고, 각 손상 부위에 특유의 호흡 패턴을 나타냄호흡명손상부위특징질환명체인-스톡호흡양쪽 대뇌 피질 아래, 뇌간의 손상얕은 호흡에 이어 일단 호흡이 시작되면 한번 호흡할 때마다 깊어지고, 일정 정도에 이르면..
2024. 9. 26.
뇌졸중 환자 간호 : 뇌신경계 신체 사정 방법①
[건강력]연령, 성별, 현재 거주지, 결혼 상태, 종교 등 개인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확인.자료의 신빙성 확인을 위해 자료 제공자와 환자와의 관계를 확인. 환경이나 직업의 위험도, 화학물질에의 노출정도, 가족 간 오른손잡이의 형태(손,눈,발의 우열정도 확인), 위생, 금전문제, 대화의 방법 등 자기관리 능력, 수면상태, 체중의 변화, 음주, 흡연 [현병력]현재 건강문제에 대해 자세히 기술, 주 증상의 발현, 관련요인, 지속시간 등을 포함한 증상의 진행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 발병시기 위치 기간 특성 동반 증상 주 호소를 완화 또는 악화시키는 요인 지금까지 시도한 치료 수량화 가능한 주관적인 지표인 0~10점까지 통증척도를 사용한다. 협심증, 치통 등 다른 신체에 나타나는 장애의 증상일 수 있음..
2024. 9. 25.
내시경 검사와 간호 - GFS, CFS, SFS, BRS
[EGD-상부위장관 내시경]① 목적- 식도, 위, 십이지장 병변 관찰 및 진단(염증의 종류, 궤양, 출혈확인)- 이물질 제거- 필요 시 생검 또는 용종 제거 ② 검사 후 간호- 수면일 경우 병실 도착 후 즉시 & 30분 후 v/s 측정 및 기록- 금식을 유지하도록 설명(주치의 식이 확인 후 진행 및 구개반사 확인 후 식이 섭취 설명)- 검사 후 인후통, 복통, 출혈, 복부팽만 등 이상증상을 관찰 및 이상증상 발현 시 주치의 보고- 용종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제 복용여부 확인- 통증 사정, 중증도 재사정 및 출혈 위험성, 검사 후 주의사항에 대해 간호기록을 시행 [CFS- 대장 내시경]① 목적- 항문을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대장 점막의 병변 관찰 및 진단(양성 및 악성 신생물 감별),..
2024.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