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사정4

뇌졸중 환자 간호 : 진단검사 두개골: 골절, 두개강 내 이물질 진단, 형태, 크기, 밀도, 석회화 및 기형 유무 확인척추: 골절, 탈구, 퇴행성 질환 등 확인, 척추결핵, 강직, 골다공증, 골연화증 등 진단①장점: 비침습적으로 검사 진행이 용이하며 통증이 없음②간호:  금속으로 된 장신구와 같이 x선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 제거 조직의 밀도가 높은 두개골이 제일 희게 나타나며 물과 공기는 검은색, 뇌조직은 회색으로 나타남① 목적뇌조직과 척수의 탈출, 이동, 출혈, 압박, 골절 여부 확인종양, 농양, 색전 확인 및 치료 경과에 대한 정보 확인퇴행성 장애의 확인(다발성 경화증의 반점, 알츠하이머에서 백질 또는 회백질 소실)② 장점두부외상이나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뇌지주막하출혈 진단, 두개골 골절이나 변형, 석회화 발견에 MRI보다 용이.. 2024. 9. 27.
뇌졸중 환자 간호 : 뇌신경계 신체 사정 방법② [신체검진]면봉이봉검안경펜라이트반사 측정을 위한 해머설압자날카로운 핀, 무딘 핀 등등뇌혈관은 동맥혈 속의 탄산가스 농도(PaCO2)가 상승하면 확장, 저하되면 수축한다. 의식 저하나 두개내압 항진에 의해 구토, 흡인 등으로 기도 폐색이 일어나면 PaCO2를 상승 시키는 원인이 됨. 그 결과 뇌혈관은 확장되고 혈류가 과잉 유입되어 뇌 부피가 커지고, 두개 내압 항진 및 뇌 허혈을 유발함 두개내압항진 및 뇌 허혈이 진행되면 호흡 조정에 관계되는 뇌간과 중뇌, 교뇌, 연수, 대뇌 전체가 압박으로 인한 손상을 받고, 각 손상 부위에 특유의 호흡 패턴을 나타냄호흡명손상부위특징질환명체인-스톡호흡양쪽 대뇌 피질 아래, 뇌간의 손상얕은 호흡에 이어 일단 호흡이 시작되면 한번 호흡할 때마다 깊어지고, 일정 정도에 이르면.. 2024. 9. 26.
뇌졸중 환자 간호 : 뇌신경계 신체 사정 방법① [건강력]연령, 성별, 현재 거주지, 결혼 상태, 종교 등 개인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확인.자료의 신빙성 확인을 위해 자료 제공자와 환자와의 관계를 확인. 환경이나 직업의 위험도, 화학물질에의 노출정도, 가족 간 오른손잡이의 형태(손,눈,발의 우열정도 확인), 위생, 금전문제, 대화의 방법 등 자기관리 능력, 수면상태, 체중의 변화, 음주, 흡연 [현병력]현재 건강문제에 대해 자세히 기술, 주 증상의 발현, 관련요인, 지속시간 등을 포함한 증상의 진행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  발병시기 위치 기간 특성 동반 증상 주 호소를 완화 또는 악화시키는 요인 지금까지 시도한 치료 수량화 가능한 주관적인 지표인 0~10점까지 통증척도를 사용한다. 협심증, 치통 등 다른 신체에 나타나는 장애의 증상일 수 있음.. 2024. 9. 25.
의식사정: GCS와 motor (power) grade GCS는 의식 단계를 평가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두부 손상을 입은 환자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광범위하게 신경학적 손상을 입은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다. 단계로 수치화되고 합계점수로 환자상태를 평가 가능하며 빠르고 간편하게 전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의식의 5단계]LOCGCS비고명료 : alert15정상적인 상태기면 : drowsy13~14졸린 상태혼미: stupor8~12의식 없이 움직임반혼수: semi coma4~7강한 자극에 약간의 반응, 자발적 움직임 없음혼수: coma3모든 자극에 전혀 반응 없음* 혼돈 confusion : 경한 의식장애로, 깨어있으나 지남력 장애가 주증상이다.* 명료 VS 기면 : 지남력 유무* 기면 VS 혼미 : 의사소통 가능여부* 혼미 VS 반혼수 .. 2024.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