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기반 임상실무] 구강간호와 I&O
[구강간호의 목적]구강청결 및 구강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함입, 시아, 잇몸, 입술의 염증을 예방하기 위함[구강간호의 적응증]인지장애(치매, 섬망), 정신건강장애, 학습장애 환자기능적 의존상태(연하곤란, 뇌졸중, 신체장애 등)기도흡인의 위험성, 호흡곤란 환자면역억제환자(항암화학요법)구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상태(당뇨, 면역억제제, 쇼그렌증후군)말기환자, 쇠약한 노인[구강간호 제제]생리식염수 → 구강청결, 육아조직의 생성, 상처치유에 도움헥사메딘 → 광범위한 항생효과, 항진균효과(기관삽관 시)탄산수소나트륨 → 점액을 녹이고 찌꺼기를 제거하는 효과(점막 표면에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희석해서 사용, 원액 사용 시 구강이 알칼리화 되어 세균번식 가능성이 있음)과산화수소 → 가피를 연화시키며 정균작용..
2024. 10. 11.
뇌졸중 환자 간호 : 진단검사
두개골: 골절, 두개강 내 이물질 진단, 형태, 크기, 밀도, 석회화 및 기형 유무 확인척추: 골절, 탈구, 퇴행성 질환 등 확인, 척추결핵, 강직, 골다공증, 골연화증 등 진단①장점: 비침습적으로 검사 진행이 용이하며 통증이 없음②간호: 금속으로 된 장신구와 같이 x선을 차단할 수 있는 물질 제거 조직의 밀도가 높은 두개골이 제일 희게 나타나며 물과 공기는 검은색, 뇌조직은 회색으로 나타남① 목적뇌조직과 척수의 탈출, 이동, 출혈, 압박, 골절 여부 확인종양, 농양, 색전 확인 및 치료 경과에 대한 정보 확인퇴행성 장애의 확인(다발성 경화증의 반점, 알츠하이머에서 백질 또는 회백질 소실)② 장점두부외상이나 뇌동맥류 파열로 인한 뇌지주막하출혈 진단, 두개골 골절이나 변형, 석회화 발견에 MRI보다 용이..
2024. 9. 27.
뇌졸중 환자 간호 : 뇌신경계 신체 사정 방법②
[신체검진]면봉이봉검안경펜라이트반사 측정을 위한 해머설압자날카로운 핀, 무딘 핀 등등뇌혈관은 동맥혈 속의 탄산가스 농도(PaCO2)가 상승하면 확장, 저하되면 수축한다. 의식 저하나 두개내압 항진에 의해 구토, 흡인 등으로 기도 폐색이 일어나면 PaCO2를 상승 시키는 원인이 됨. 그 결과 뇌혈관은 확장되고 혈류가 과잉 유입되어 뇌 부피가 커지고, 두개 내압 항진 및 뇌 허혈을 유발함 두개내압항진 및 뇌 허혈이 진행되면 호흡 조정에 관계되는 뇌간과 중뇌, 교뇌, 연수, 대뇌 전체가 압박으로 인한 손상을 받고, 각 손상 부위에 특유의 호흡 패턴을 나타냄호흡명손상부위특징질환명체인-스톡호흡양쪽 대뇌 피질 아래, 뇌간의 손상얕은 호흡에 이어 일단 호흡이 시작되면 한번 호흡할 때마다 깊어지고, 일정 정도에 이르면..
2024.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