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강간호의 목적]
- 구강청결 및 구강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함
- 입, 시아, 잇몸, 입술의 염증을 예방하기 위함
[구강간호의 적응증]
- 인지장애(치매, 섬망), 정신건강장애, 학습장애 환자
- 기능적 의존상태(연하곤란, 뇌졸중, 신체장애 등)
- 기도흡인의 위험성, 호흡곤란 환자
- 면역억제환자(항암화학요법)
- 구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상태(당뇨, 면역억제제, 쇼그렌증후군)
- 말기환자, 쇠약한 노인
[구강간호 제제]
- 생리식염수 → 구강청결, 육아조직의 생성, 상처치유에 도움
- 헥사메딘 → 광범위한 항생효과, 항진균효과(기관삽관 시)
- 탄산수소나트륨 → 점액을 녹이고 찌꺼기를 제거하는 효과(점막 표면에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희석해서 사용, 원액 사용 시 구강이 알칼리화 되어 세균번식 가능성이 있음)
- 과산화수소 → 가피를 연화시키며 정균작용을 하나 장기간 사용 시 구강점막을 자극하고 구강내의 정상균주를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추천되지 않음
[구강간호 준비물]
트레이, 드레싱 세트, 구강소독액, 설압자, kelly, 거즈, pus pan, 수건, 면봉, 윤활제, 장갑, pen light
[구강간호 방법]
-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개방형 질문으로 환자 이름을 확인하고 구강간호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 의식이 있는 환자는 상반신을 약간 올리며 환자의 머리를 옆으로 돌린 후 베개 끝으로 오게 하고(흡인예방, 잘 뱉어내게 하기 위함) 의식이 없는 환자는 베개를 빼고 환자의 머리를 옆으로 돌려준다.(입에서 분비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도록 하여 흡인예방)
- 턱 밑에 수건을 대준다
-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턱을 아래로 잡아당긴 후 거즈로 싼 설압자를 이용하여 입을 벌린다
- kelly를 이용하여 솜(무의식환자는 거즈)에 소독액을 묻혀 이와 잇몸, 혀를 고루 닦아준다
- 구강안을 pen light로 비춰 솜이 남아있는지 확인 후 입가 가장자리를 닦아준다
- 입술이 건조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면봉으로 윤활제(바세린)을 발라준다
- 환자를 편안하게 해주고 물품을 정리한다
- 기록지에 구강상태(잇몸의 색, 출혈유무, 염증, 냄새, 병변 등)를 기록한다.
[I&O 정의]
체내에 들어간 양과 나온 양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
[I&O 목적]
체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경구, 비경구적인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여 잠재적인 신체 위험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기 위함이다
[수분섭취와 배설량의 측정이 필요한 경우]
- 정맥 수액 주입 시
- 유치도뇨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
- 배액관이나 흡인기구 유지시
- 뇌압강하제, 강심제, 배뇨량 증가약물 복용 시 신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
- 수분정체가 심하여 수분제한이 요구되는 경우(CHF, edema)
[I/O 측정 원칙]
- 경구, 비경구 투여를 통하여 우리 몸에 들어온 수분량은 모두 포함
- 식간에 물 또는 기타 음료를 마시는 것도 기록
- 약과 함께 섭취된 물과 액체량도 측정
- 얼음의 경우 전량의 반을 수분량으로 측정
- 소변,대변,토물,상처,궤양으로부터의 배액, 흡인기구로 부터의 배액량도 측정
- 기저귀의 소변이나 대변, 옷이나 침대시트의 토물, 젖은 드레싱의 상처 배액 등은 저울로 측정
- 우리 몸안의 배설량의 기준이 되는 것은 소변량으로 소변량을 정확히 측정함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소변은 일반적으로 시간당 25cc/hr이하, 500cc/day는 비정상적임
반응형
'간호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관영양과 L-tube feeding 방법 (2) | 2024.10.10 |
---|---|
전자 의무기록: 간호기록의 목적과 원칙 (3) | 2024.09.30 |
급성기 뇌졸중 환자 간호: 치료방법 (5) | 2024.09.28 |
뇌졸중 환자 간호 : 뇌신경계 신체 사정 방법② (6) | 2024.09.26 |
뇌졸중 환자 간호 : 뇌신경계 신체 사정 방법① (2) | 202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