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CS는 의식 단계를 평가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두부 손상을 입은 환자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광범위하게 신경학적 손상을 입은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다. 단계로 수치화되고 합계점수로 환자상태를 평가 가능하며 빠르고 간편하게 전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의식의 5단계]
LOC | GCS | 비고 |
명료 : alert | 15 | 정상적인 상태 |
기면 : drowsy | 13~14 | 졸린 상태 |
혼미: stupor | 8~12 | 의식 없이 움직임 |
반혼수: semi coma | 4~7 | 강한 자극에 약간의 반응, 자발적 움직임 없음 |
혼수: coma | 3 | 모든 자극에 전혀 반응 없음 |
* 혼돈 confusion : 경한 의식장애로, 깨어있으나 지남력 장애가 주증상이다.
* 명료 VS 기면 : 지남력 유무
* 기면 VS 혼미 : 의사소통 가능여부
* 혼미 VS 반혼수 : 자발적 운동 가능여부
[GCS : glasgow coma scale]
Eye | verbal | motor | |
6 | - | - | 명령에 따름 (obey 가능) |
5 | - | 지남력 있고 의사소통 가능 | 통증원을 치운다 |
4 | 자발적으로 눈 뜸 | 지남력 없고 혼돈된 대화(문장) | 통증 자극을 피한다 |
3 | 목소리에 반응하여 눈 뜸 | 혼돈된 단어 | 통증에 비정상적 굴곡반응 |
2 | 통증에 눈 뜸 | 신음소리 | 통증에 비정상적 신전반응 |
1 | 눈 뜨지 않음 | 무응답 | 무반응 |
* 15점 만점, 3점이 최저 점수(0점 아님!!)
* motor는 좌우,상하지 모두 검사하며 최고 점수를 부여한다.
* 기관내삽관 상태('E'로 표기)
* 기관 절개술 상태('T'로 표기)
[동공 반응]
동공 크기: 불빛을 비추기 전 크리고 2~5mm를 정상으로 판단하며, 양 눈이 대칭을 이루어야 한다
동공 모양: 둥근 원형을 정상으로 판단하고, 백내장 수술 시 살짝 찌그러진 모양이다.
동공 반응: 불빛에 빠르게 수축할 시 정상(prompt), 서서히 수축함(sluggish), 반응이 없음(fixed)
*안와부종이 심한 경우는 측정 불가
[Motor Grade]
* GCS의 motor와 Motor Grade 사정은 다르다.
* GCS의 motor는 운동신경반응을 사정하고, Motor Grade는 근력수준을 사정한다.
Grade 5 | 100% | 정상근력 힘 저항에 버틸 수 있다. |
Grade 4 | 75% | 팔이나 다리를 들어올림 힘 저항에 버티지 못한다 |
Grade 3 | 50% | 팔이나 다리를 끌어서 올림 수직으로 들어올리기 가능 |
Grade 2 | 25% | 팔이나 다리를 수평으로 움직임 |
Grade 1 | 10% | 움찔거림 |
Grade 0 | 0% | 근육 수축이 전혀 없음 |
* G1 VS G2 : 관절의 움직임 여부로 판단 가능
반응형
'간호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거기반 임상실무] 산소요법과 간호 (7) | 2024.09.12 |
---|---|
수혈 간호 술기 / 목적 / 종류 / 검사 / 부작용 (2) | 2024.09.10 |
외과, 내과에서 사용하는 배액관 종류 및 관리법 (2) | 2024.09.09 |
수액의 종류와 수액속도 계산법 (4) | 2024.09.08 |
항생제 AST 방법 및 용량 계산 (0) | 202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