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실무

외과, 내과에서 사용하는 배액관 종류 및 관리법

by 널싱먹찌 2024. 9. 9.

목차

1. 배액관


2. pigtail


3. CTD


4. JP, Hemo-vac


5. PTBD


6. ENBD


7. PCN


8. 배액관 사정

[배액관]

상처가 난 공간 속에 있는 액체나 삼출물을 쉽게 배출하거나 제거하기 위하여 넣는 관을 말하며 일시적인 배액과, 지속적인 배액이 있다. 일시적 배액으로 반복적인 천자를 시행할 수 있으나, 침습적인 시술이 반복될 시 감염, 기흉, 출혈 등의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충분한 배액의 효과도 떨어질 수 있어 지속적인 배액이 필요한 경우에는 배액관을 체내에 삽입한다.

  • 지속적인 배액: PCD, PTBD, CTD
  • 일시적인 배액: thoracentesis, paracentesis

[pigtail(CTD:경피적 배액술)]

피부를 뚫어 관을 삽입하여 안에 있는 액체를 배액하는 방법이다.

흉막강 내 혈액이 저류한 혈흉(hemothorax), 간에 농양이 차 있는 경우(liver abscrss), 배 안에 복수가 찬 경우(ascites), 흉막 안에 삼출물이 차 있는 경우(pleural effusion)등이 있다.

pleural effusion ascites abscess
- 흉수
- 흉막강 내 고인 액체
- 질환으로 인해 생성과 흡수 기전에 변화가 초래되면서 발생
- 여출성 흉수(전신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심부전, 신부전 등의 이차적인 결과로 발생함)
- 삼출성 흉수(흉막 자체의 국소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 세균성폐렴, 결핵 등)
- 복수
- 복막강 내 고인 액체
- 간경변, 심한 간질환으로 인해 발생
- 암
- 농양
- 세균이나 기생충이 간 내부에서 감염과 염증을 일으킨 후 정상 세포가 파괴된 자리에 농양이 형성되는 것

 

[CTD]

① 시술 목적 및 필요성

- 기흉 혹은 흉수 환자에게 흉강 내의 공기나 흉수를 지속적으로 배액할 필요가 있을 때 흉강 내에 흉관을 삽입 하여 배액하는 치료 방법

 

② 적응증

- 흉강 내 지속적인 공기주출이 있는 기흉환자

- 농흉 등의 세균 합병증 흉수 환자

- 단순 천자만으로 해결되지 않고 지속되는 악성 흉수(폐암, 흉막암)환자

- 흉막 유착술이 필요할 정도의 지속적 흉수환자에서 흉막유착술 전 충분한 흉수 배액을 위해

 

③ CTD 정상 기능 확인 방법

- 환자 흉부와 배액병 연결 부위 상태 확인

- 들숨과 날숨에 의한 배액병 물기둥 움직임 확인

- 배액병 대롱이 수면 아래로 2~3 cm 잠겨 있음을 확인

- 배액병에 연결된 흡인기 작동 여부와 압력 확인

 

④ 배액병 교환 시기 및 주의사항

- 배액병 내 수액이 너무 많으면 배액을 방해하므로 배액량은 700ml가 넘지 않도록 함

- 흉관을 clamp한 후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교환하며, 무균적으로 시행

 

[J-P(jackson-pratt), Hemo-vac]

① 목적

- 수술 후 상처 또는 체내에 고여있는 삼출물 배액

- 수술 및 시술 후 삼출물 배액과 출혈 관찰

 

② 관리 방법

- 배액병에 음압이 알맞게 걸려 있는지 확인

- bloody할 경우 clot이 생길 수 있어 squeezing 시행

 

[PTBD]

- 배액관을 체외에서 삽입하여 간 내의 담도에 위치시키는 시술을 말하며 bile bag을 연결하여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담즙을 배출시킨다.

- 담도가 폐쇄되어 담즙이 저류되는 경우 황달이나 담도염, 패혈증이 나타날 수 있는데, 저류된 담즙을 배액시켜 확장되고 압력이 높아진 담도를 완화시킨다.

- 담낭염, 췌장염, 결석, 종양, 담즙 수치가 높은 경우 시행한다

 

* PTBD :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경피적간 "담도" 배액술

* PTGBD : percutaneous transhepatic gallbladder drainage 경피경간 "담낭" 배액술

 

[ENBD]

- ERCP를 하면서 catheter를 담관에 위치하도록 하여 담즙을 배액하기 위함

- PTBD와 같이 담즙을 배액하기 위한 목적이나 코를 통해 카테터로 배액되므로 침습적이지 않다

- ENBD를 시행한 다음날 tubogram을 시행하여 remove여부를 확인한다

 

[PCN]

- 소변이 방광으로 배출되는 길이 막혔을 때, 콩팥을 직접 천자하여 소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치료법

- 수신증이 있을 때 사용한다.

 

<DJ catheter>

- 악성종양, 요로결석, 감염성 요로폐색, 외상 및 수술 시의 손상 등의 원인으로 요관이 좁아지거나 막혔을 때 소변이 내려가는 길을 확보하고 신장부터 방광까지 이어지는 요로의 압력은 낮추기 위해 시행하는 시술

 

[배액관 사정]

- 삽관부위를 관찰한다.(oozing여부, 주변 피부 redness 여부)

- 관의 개방성 유무 확인(3-way clamping 여부, 관의 꺾임 여부)

- 배액양상 관찰(색, 냄새, 양의 변화)

- 빠져나온 배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배액병의 위치 확인(삽입 부위 보다 아래로)

- 배액양이 갑자기 줄었을 때 주치의 보고 후 irrigation 여부 확인

- 한번에 많은 양을 배액할 시 혈압저하 등 위험 초래하여 drain 양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