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다량의 수액이나 혈액 공급
- CVP monitoring (중환자의 체액 균형을 맞추기 위함)
- 승압제, 심혈관계약물 주입
- 항암제 사용
- 말초혈관 주입 시 정맥염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약물 주입 시
- 잦은 혹은 영구적인 IV가 필요한 경유
[장단점]
- 장점: 경제적이다, 비교적 접근과 제거가 쉽다
- 단점: 감염위험성이 높다
[삽입 위치]
- Internal jugular vein(내경정맥) : 정맥의 위치가 잘 보이고 곧아 성공률 가장 높으나 카테터 삽입 위치가 불편함
- Subclavian vein(쇄골하정맥): 왼쪽 보다 오른쪽이 접근이 쉽다
- Femoral vein(대퇴정맥): 접히는 부위에 고정 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감염 위험성 및 심부정맥혈전증의 위험성이 있다.
[chemoport(이식형 포트)]
- 이식방법: 국소마취 후 피부를 절개하여 포트를 삽입하고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실로 봉합
- 장점: 미사용 시 소독 불필요, 수영 통목욕 가능
- Dressing: 거즈 2일마다, 필름 7일마다 교체 / chemoport needle 7일마다 교체
- 감염 증상: 삽입부위 열감, 통증, 분비물, 고열, 삽입한쪽 어깨나 팔 붓는 경우
[Hickman catheter]
- 6개월~ 수년 사용 가능
- 항암, 수액, 채혈, 수혈 등 장기간 사용 목적
- Dacron cuff로 미생물의 침투를 막아 감염 예방
*Dacron cuff: 피하터널 중간에 위치하며 fibroblast(섬유아세포:결합조직세포)성장을 촉진시켜 피하터널을 밀폐 고정시킴
[perm-catheter]
- 2~6개월 사용 가능
- 동정맥루가 성숙될 때까지 기다릴 수 없는 환자, 혈장교환술, 투석요법이 필요한 신장이식 환자, 신장이식 전 단기간의 투석요법이 필요한 환자
- 굵은 두개의 관내강으로 이루어져 있고 피의 재순환을 줄이기 위해 층이 지거나 갈라져 있음
[PICC]
- 말초 삽입되어 상대정맥을 통해 우심방 입구 tip 도달
- 작은 직경과 얇은 벽이 특징이며 6개월 전후 사용가능
- 시술이 간단하며 기흉, 혈흉의 합병증이 적음
*시술 후 주의사항
- 출혈과 통증 관찰
- 삽관부위 주변 염증 및 발적 등 이상소견 관찰
- 삽입한 팔의 어깨나 팔, 얼굴 부종 관찰
- 무거운 물건 들지 않도록 하고 혈압측정 제한(압력으로 인한 정맥관내 혈액 역류로 막힐 수 있음)
[C-line]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중심정맥관
- 응급상황 시 단기 사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① jugular catheter: 정맥의 위치가 잘 보이고 곧고 주행거리가 짧음, 성공률 가장 높으나 카테터 삽입 위치가 불편감 초래
② subclavian catheter: 신뢰할 만한 삽입부우
③ femoral catheter: 접히는 부위에 고정시켜야 하는 단점, 감염 위험성 및 심부정맥혈전증 위험성
[시술 직후 합병증]
① 출혈: 시술 부위 모래주머니 1~2시간 적용, 필요시 손으로 눌러 지혈(manual compression)
② 통증: 필요시 주치의 확인 후 진통제 투여
③ 기흉, 혈융
④ 공기색전증: 왼쪽으로 눕힌 자세로 가슴과 머리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해 낮게 유지, 산소100% 투여
[카테터 관련 감염]
① 국소감염: 항생제 투여 및 카테터 제거 시 증상 완화
② 전신 감염: 카테터 관련 균혈증(CRBSI)
[중심정맥카테터의 안전한 제거]
1. 환자에게 제거과정 설명 후 안심시키기 : 불안정한 호흡예방
2. trendelenberg position: 정맥압을 높여 공기의 유입을 차단, 저혈량증 환자에게 유용
3. valsalva 수기: 흉강내압을 올리는 방법(호기시 제거)
4. 30분간 누운 자세 유지 : 공기색전증 예방
'간호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음파, 핵의학 검사와 간호 - SONO, Echo, Bone scan, PET-CT (1) | 2024.09.21 |
---|---|
방사선 검사와 간호 - x-ray, CT, MRI, Angio (4) | 2024.09.20 |
[근거기반 임상실무] 당뇨병 환자 간호 (4) | 2024.09.16 |
[근거기반 임상실무] 흡인간호 (3) | 2024.09.15 |
[근거기반 임상실무] 수술 전 후 간호 (3) | 2024.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