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와 진료비 지불 제도]
<사회보장>
: 사회구성원에게 생활의 위험이 발생했을 때 사회적으로 보호하는 대응체계를 가리키는 포괄적 용어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
사회보험 | 공공부조 | 사회서비스 |
국민에게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을 보험방식으로 대처함으로써 국민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 (법에 의해 가입 의무화)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으로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 |
국민의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위해 상담, 재활, 돌봄, 정보제공, 시설이용, 역량개발 등을 지원하는 제도 |
<진료비 지불 제도>
: 진료의 대가로 의료공급자에게 지급되는 보상 방식
① 행위별 수가제
- 진료에 소요되는 약제 또는 재료비를 별도로 산정하고, 의료인이 제공한 진료행위 하나하나 마다 항목별로 가격을 책정하여 진료비를 지급하는 제도
- 행위수가: 행위별 상대가치 점수 X 점수당 단가(환산지수) X 종별가산율
- 상대가치검수는 단일이나, 요양기관 종별(상급종합병원/종합병원/의원 등)에 따라 점수당 단가 및 종별가산율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행위라도 최종 수가가 달라짐
② 포괄 수가제
- 환자가 어떤 질병의 진료를 위하여 입원했는가에 따라 질병군별로 미리 책정된 일정액의 진료비를 지급하는 제도
- 같은 질병이라도 환자의 합병증이나 타상병 동반여부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수 있음
- 7개 질병군
- 안과: 백내장수술(수정체 수술)
- 이비인후과: 편도수술 및 아데노이드 수술
- 외과: 항문수술(치질 등), 탈장수술(서혜 및 대퇴부), 맹장수술(충수절제술)
- 산부인과: 제왕절개분만, 자궁 및 자궁부속기(난소, 난관 등) 수술(악성종양 제외)
[건강보험제도와 진료비의 흐름]
<건강보험>
① 건강보험의 범위
: 국민의 질병, 부상에 대한 예방,진단,치료, 재활과 출산,사망 및 건강증진
② 목적
국민보건 향상, 사회보장 증진
<건강보험 본인부담제도>
환자가 부담하는 비용은 본인일부부담, 전액본인부담, 비급여 항목으로 구성됨
① 본인일부부담제도 종류
- 정률제: 일정비율을 환자가 부담(예시: 입원20%, 종합병원외래 50% 등)
- 정액제: 정해진 일정 금액만 환자가 부담(예시: 의원급 65세 이상 노인 진료비)
- 본인부담 상한제: 환자가 1년 동안 부담하는 금액에 대한 상한선을 설정하고 상한선을 초과하는 진료비는 보험자가 부담하는 방식(소득수준에 따른 차등적용)
② 주요 본인부담률
구분 | 본인부담률 |
건강보험 입원 | 20% |
건강보험 식대 | 50% |
2인실 입원료 | 40% |
3인실 입원료 | 30% |
건강보험 외래 | 50% |
CT,MRI,PET-CT | 50% |
15세 이하 입원 | 5% |
2세 미만 영유아 입원 | 0% |
③ 급여
- 건강보험 적용
- 본인부담률에 따라 환자가 일부를 부담함
④ 전액 본인부담
- 건강보험 적용의 전액을 환자가 부담함
⑤ 비급여
-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의료비
- 성형/미용/건강검진/예방접종/증명서발급목적진료 등
<보험유형(자격 유형)>
건강보험 |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 지원사업 ①희귀질환,중증난치질환,중증질환자 ② 만성질환자 ③18세 미만 아동 중 세대의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의 50%이하이고, 부양요건을 충족하는 자에 대해 요양급여 비용 중 본인이 부담하는 본인부담금을 경감하여 주는 사업 ①→ 차상위 1종 / ②③ → 차상위 2종 |
의료급여 | 의료급여 1종: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타법적용자, 행려환자 의료급여 2종: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및 타법적용자 중 1종 수급권자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자 |
자보(자동차 보험) |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진료비 심사를 하기 위해 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에서 자동차보험 진료비 심사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함 |
산재(산업재해보상보험) | 업무상 사유에 따른 노동자의 부상, 질병, 장해 또는 사망 |
일반 | 비급여 대상 진료 |
국제 |
반응형
'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환자의 합병증 종류 (6) | 2024.10.02 |
---|---|
본인부담금 및 간호처방: 산정특례 (8) | 2024.10.01 |
뇌졸중 환자 간호 : 진단검사 (3) | 2024.09.27 |
가정간호서비스의 장점과 비용 (11) | 2024.09.18 |
물품관리 및 공급시스템 (8)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