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정보

병원에서 자주 사용하는 주사제 ②

by 널싱먹찌 2024. 10. 7.
반응형

[라식스]

이뇨제

  • 울혈성심부전, 간경변, 신장애와 관련된 부종 및 고혈압, 급성 폐쑤종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는 강력한 이뇨제
  • 무뇨, 저나트륨 or 저칼륨혈증 환자, 중증 간장애 or 신장애 환자에게 투여 시 모니터링 필요함
  • 부작용: 기립성 저혈압, 급성 저혈압, 마비감, 현훈, 두통 등

[비타케이1주사액]

조혈기계

  • 혈액응고인자의 생성을 촉진하여 지혈작용을 나타냄
  • 영양결핍, vit K 생합성 및 흡수불량으로 오는 저프로트롬빈혈증에 사용함
  • 간기능 이상으로 인한 출혈에 선택약제로 쓰임
  • 부작용: 과민증상, 흉통, 어지러움 등

[에포카인프리필드주]

조혈기계

  • 유전자 재조합제제로 골수증의 적혈구 전구세포에 작용하여 적혈구 생성을 조절하는 조혈 호르몬제제
  • 만성신부전환자, 항암요법을 받는 암환자 등 
  • 부작용: 피로감, 두통, 발열, 부종, 어지러움 등

[페르디핀주사액]

고혈압 치료제

  • 응급성 고혈압, 뇌혈류 장애 개선에 사용함
  • 급속히 혈압을 내릴필요가 있는 경우에 투여함
  • 부작용: 심근허혈, 저혈압, 말초부종, 빈맥 등

[포스텐주]

칼륨과 인산의 공급

  • 칼륨은 세포내의 양이온으로 정상인 신기능 발혈에 관여하며 인산은 체내 칼슘농도의 평형에 영향을 주어 산-염기 평형에 영향을 주어 산-염기 평형에 완충작용을함
  • 칼륨 결핍에 수반하는 저 인산혈증의 조절에 사용함
  • 고칼륨혈증이 자주 나타나는 질환자는 투여 시 모니터링이 필요함
  • 반드시 희석해서 사용하며, 중독을 피하기 위해 천천히 투여해야됨
  • 부작용: 오심, 설사, 구토, 서맥, 고칼륨혈증 등

[페니라민]

항히스타민제

  • 두드러기, 소양성 피부질환 등에 사용
  • 수혈 전 부작용 예방약제로 흔히 사용함
  • 부작용: 쇼크, 청색증, 호흡곤란, 빈혈, 진정, 구토 등

[트리돌]

해열 진통 소염제

  • 각종질환에 기인한 중등 및 중등도의 급만성 동통에 사용
  • 마약성 진통제보다 호흡억제, 혈압에 대한 영향, 장관운동 억제작용이 약함
  • 신기능, 간기능 환자에게는 배설이 지연될 수 있어 투여간격 조절이 필요함
  • 부작용: 현기증, 두통, 현훈, 구토 등

[알부민]

혈액제제류

  • 알부민은 정상인 혈장단백중에 52~56% 차지하는 단백질로 전신의 단백영양과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해 주는 역할을 함
  • 알부민의 상실(화상, 신증후군 등) 및 알부민 합성저하(간경변 등)에 의한 저알부민혈증 교정에 사용
  • 부작용: 울혈성 심부전, 폐부종, 호흡곤란 등

[판토록]

소화성궤양용제

  • 위산생성의 마지막 단계를 억제함
  • 위, 십이지장궤양, 역류성식도염 등 출혈이 동반된 경우 단기간 사용
  • 중증의 간부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경우 간수치 모니터링이 필요함
  • 부작용: 흉통, 발진, 소양증, 설사, 복통, 구토, 오심 등

[에글란딘]

말초순환 개선제

  • 만성동맥폐색증, 진행성 전신성 경화증, 당뇨병성 피부궤양 환자에게 사용
  • 말초혈관 확장, 혈소판 응집억제, 동맥관 확장 작용을함
  • 수액 이외의 다른 약제와 혼합해서 사용하면 안됨
  • 부작용: 홍조, 발열, 서맥, 설사, 정맥염 등

[조이렉스]

Purine nucleoside계 항바이러스제

  • 헤르페스 바이러스 특유의 효소인 thymidime kinase에 의해 선택적으로 감염세포에만 작용하며, 정상세포에는 영향이 거의 없음.
  • 단순포진치료, 재발성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 신장애 환자는 사용 시 적절한 용량 선택 필요
  • 부작용: 설사, 메스꺼움, 구토, 두통, 권태감, 신부전
반응형